눈물의 결혼, 현실적인 예산 설정의 중요성
8월, 결혼 비용 평균 2160만원 돌파: 예비부부들의 현실적인 고민
인생의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결혼, 하지만 설렘만큼이나 마음을 무겁게 짓누르는 것이 바로 ‘결혼 비용’입니다. 최근 발표된 조사 결과는 많은 예비부부들에게 현실적인 고민거리를 안겨주었습니다. 지난 8월, 전국 결혼 서비스 전체 비용이 평균 2160만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단순히 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스드메)과 결혼식장 대관료만을 합산한 금액으로, 여기에 결혼 준비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추가 비용까지 고려하면 그 부담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치솟는 결혼 비용, 그 원인은?
결혼 비용 상승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바로 결혼식 식대의 지속적인 상승입니다. 지난달 결혼식 비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식대의 중간 가격은 6만원을 넘어섰습니다. 또한, 결혼식장 대관료 역시 지난 6월 대비 16.7% 상승하며 예비부부들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팬데믹 이후 점차 결혼식이 활성화되면서 수요가 늘어난 것도 이러한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지역별 천차만별 결혼 비용: 강남 3구 vs. 경상도
결혼 비용은 지역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입니다. 특히 서울 강남 3구(강남, 서초, 송파)는 평균 3509만원이라는 압도적인 수치를 기록하며 가장 높은 결혼 비용을 나타냈습니다. 서울 강남 3구 외 지역은 2588만원, 경기도는 1862만원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반면, 경상도는 1181만원으로 가장 낮은 평균 결혼 비용을 기록하며 지역별 격차를 보여주었습니다.
수도권의 경우 지난 6월 대비 4.3% 상승(2555만원→2665만원)하며 꾸준한 상승세를 보인 반면, 비수도권은 1.9% 하락(1541만원→1511만원)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수도권의 높은 물가와 더불어 웨딩 트렌드를 선도하는 지역의 영향력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합리적인 결혼 준비를 위한 제언
치솟는 결혼 비용 앞에서 많은 예비부부들이 좌절감을 느끼거나, 혹은 무리한 대출을 통해 결혼을 강행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현실적인 예산 계획입니다.
- 우선순위 설정: 결혼식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무엇인가요? 예산이 한정되어 있다면, 우선순위를 정하고 양보할 수 있는 부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다양한 정보 탐색: 결혼 서비스 업체마다 가격 정책이 다를 수 있습니다. 여러 업체를 비교하고, 프로모션이나 할인 혜택을 적극적으로 알아보세요.
- 불필요한 지출 줄이기: 실제로 많은 하객이 참석하지 않는다면 식대 예산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웨딩 플랫폼을 활용하거나 지인 찬스를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주변의 도움 활용: 가족이나 친구들과 결혼 준비 계획을 공유하고 도움을 받는다면, 예상치 못한 지출을 줄이고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결혼은 두 사람의 사랑을 약속하는 소중한 의식입니다. 비싼 결혼식이 행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고, 합리적인 예산 안에서 두 사람에게 가장 의미 있는 결혼식을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입니다.